중소기업에 다니는 40대 직장인 A(42)씨. 그는 외벌이다. 아내 B(38)씨는 가정주부다. 부부에겐 두명의 딸(8ㆍ5)이 있다. 2년 전 전세금을 구하기 위해 2000만원 대출을 받았고, 매월 18만원씩 갚고 있다. 소득은 A씨 월급 270만원(세금공제)이 전부. 고정비용 등을 제한 76만원으로 생활한다. 외벌이 4인가족 A씨의 재무상태를 자산관리전문가 5인이 진단했다.


✚ 기성준 KDB생명 팀장(이하 기성준) : “A씨 가정의 지출 내역에서 눈에 바로 들어오는 것은 ‘과다한 보험료 지출’이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4인가족의 적정보험료(보장성) 비중을 8~10% 이내에서 지출할 것을 권장한다. 그런데 A씨의 가정은 연금을 포함한 보험료가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종신보험을 감액하거나 정기보험(자녀의 경제적 독립시점까지 사망보장 후 소멸)으로 전환해 매월 보험료의 지출을 줄일 것을 권한다. 4인가족 보장성 보험료는 월 30만원 이내를 유지하는 것이 적정수준이다.
✚ 이호용 한국투자증권 차장(이호용) : A씨의 경우 종신보험과 연금을 따로 불입하고 있다. 이 금액이 24만원에 달한다. 가입기간이 얼마 되지 않았다면 종신보험과 연금보험을 매월 15만~20만원으로 통합해 가입할 것을 권한다. 이럴 경우 매월 5만~10만원가량을 저축재원으로 전환할 수 있다.”
✚ 조영준 인스밸리 FP(조영준) : “A씨는 현재 연금 10만원을 제외하고도 매월 43만3000원을 보험료로 지출한다. 소득에 비해서도 많은 금액이다. 해결방안은 A씨 가정의 보험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A씨는 13만원 선에서 구성(생명+손해)하고, 아내 B씨는 7만~8만원가량 구성할 것을 권한다. 자녀는 각각 3만원 내외 구성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보험료를 변경한다면 매월 보험료로 기존보다 16만~17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 우정옥 미래에셋증권 팀장(우정옥) : A씨의 생명보험은 종신보험과 중복된다. 아내인 B씨는 종신 기능이 없는 저렴한 실비보험으로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 허민 한화생명 부지점장(허민) : 아내인 B씨가 생명보험으로 가입하고, 사망보험금을 최대한 낮춘 후 A씨를 배우자 특약으로 가입할 것을 권한다. 두명의 자녀는 자녀 특약으로 묶어서 보험을 가입하면 4인가족의 보험료가 최대 매월 15만~16만원가량 줄일 수 있다.
▶ 용돈ㆍ교통비 │ 대중교통 이용하면 …
✚ 이호용 : “A씨의 용돈은 월급(세금공제)의 약 10%를 차지한다. 월급의 5% 수준인 15만원을 용돈으로 사용하고, 과감하게 10만원을 줄이자. 기존보다 1년에 120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추후 급여가 인상되거나 저축이 이뤄진 이후 용돈을 재인상할 수 있다. 유류비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지금보다 지출비용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이 시행할 경우 1년에 120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정리하면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에서 1년에 최대 240만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우정옥 : “출퇴근이 가능한 직장이라면 월 10만원 미만의 교통비로 생활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더욱 대중교통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A씨의 용돈은 가장 탄력적으로 조정이 가능한 항목이다. 현재 수준은 적정하지만 상황에 맞춰 앞으로 필요할 때마다 조정해야 한다.”
▶ 통신비 │ 데이터 절약형 상품으로 교체
✚ 조영준 :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과거에 비해 통신비의 지출이 증가했다. 통신비용을 줄이는 방법은 데이터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최근에는 와이파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사용이 낮은 요금제를 선택하고, 통신비의 지출을 줄이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 이호용 : “A씨 가구가 매월 지출하는 통신비용은 16만원이다. A씨와 아내인 B씨의 통신비용을 각각 5만원씩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거나 부가서비스를 정리해 통신비 지출 비중을 줄일 것을 권한다.”
▶ 저축 │ 저축여력 늘리는 게 관건
✚ 기성준 : “외벌이 가정의 적정저축 비율은 소득의 약 20%다. A씨의 경우 저축비율이 2%도 안 된다. 금액으로 따지면 5만원인데, 향후 45만~50만원 저축할 것을 제안한다. 보장성 보험료 지출을 줄이고, 이 부분을 연금보험료 재원으로 전환해 13만원 증액하는 것이다. 새는 돈을 막아 비상예비자금 명목으로 25만~30만원 확보할 것을 권한다.”

✚ 우정옥 : “A씨 가정의 지출항목을 보면 저축이 전체의 2%에 불과하다. 탄력적으로 조정이 가능한 용돈과 유류비의 일부를 저축할 것을 권한다.”
✚ 조영준 : “A씨 가정의 지출패턴의 문제점은 수입에서 차지하는 저축 비중이 적다는 것이다. 연금을 포함해 15만원에 불과하다. 주택대출 금액(2000만원)이 큰 편은 아니지만, 집안의 행사와 기타의 변수가 발생하면 결국 마이너스 통장 등에서 지출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고정된 수입에서 저축을 늘릴 수 있는 것은 결국 얼마만큼 고정지출을 줄이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보험료ㆍ유류비ㆍ통신비 등을 조금씩 줄인다면 매월 저축여력이 늘어날 수 있다. 늘어나는 저축여력으로 마이너스 통장을 상환하는 것이 좋다. 대출상환계획을 세울 것을 권한다. 비상예비자금 마련 등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종합 │ 재무상태 정확하게 알아야
✚ 이호용 : “부자가 되는 방법은 얼마를 버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렸다.” 용돈ㆍ기름값ㆍ보험료ㆍ통신비 등에서 지금보다 매월 최대 30만~40만원 수준을 절약해야 한다. 이 금액으로 마이너스통장을 상환하고 그 이후 은행 정기적금 등을 활용해 목돈을 마련해야 한다. 지속적으로 저축한다면 자녀학자금과 결혼자금에 대한 일말의 준비는 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성준 : “저성장 저금리 시대에 살아가다보니 직장인의 호주머니가 유리지갑으로 바뀐 지 오래됐다. 물가는 오르고 실질 가처분소득은 감소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재무 상태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 우정옥 : “대출이자와 관리비 항목은 조정이 불가하지만, 용돈과 유류비는 탄력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저축의 비중이 가장 적으므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 조영준 : “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등 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금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 허민 : “소득에 비해 보험비의 지출이 크다. 종신보험은 A씨 것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부부가 실비로 옮길 것을 권한다. 그 돈으로 대출을 상환하는 데 전념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김건희 기자 kkh4792@thescoop.co.kr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