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톱 생산으로 GM을 사로잡다
원스톱 생산으로 GM을 사로잡다
  • 박용선 기자
  • 호수 46
  • 승인 2013.06.07 11: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脫현대차 성공한 자동차부품업체 에스엘

국내 한 자동차 부품업체가 제너럴모터스(GM)의 문을 두드렸다. 무려 27년 전 이야기다. 주인공은 차량용 헤드램프•새시를 제작하는 ‘에스엘’. 1986년 에스엘은 GM과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기술력을 쌓았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았다. 에스엘은 GM의 우수협력업체 중 한곳으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에 부품을 공급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무려 17년 동안 GM과 거래해온 기업이 있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에스엘’이다. 에스엘은 현재 GM에 헤드램프•새시를 공급하고 있다. 올 5월 24일에는 ‘오토매틱 기어 시프터를 2020년까지 독점공급한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연간 1억6000만 달러(178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오토매틱 기어 시프터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기어변속을 돕는 장치다.

에스엘이 GM을 사로잡은 비결은 기술력이다. 이 회사는 국내 부품업체로는 최초로 기술연구소(1986)를 설립했다. 이 연구소에서는 어떤 부품이든 개발~생산~검사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연구소의 중앙실험실은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증까지 받았다. 에스엘의 부품이 값이 싸면서도 안정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끊임없는 연구개발(R&D) 투자도 기술력을 쌓는데 도움이 됐다. 에스엘은 연평균 매출의 6~8%를 R&D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해외기업과의 활발한 교류 역시 시너지 효과를 냈다.

에스엘은 1986년 GM과 합작으로 ‘성산(현 성산공장•2010년 에스엘이 흡수합병)’을 설립했다. 이후 GM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1997년부터 GM에 부품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에스엘은 올해 17년 연속 GM의 우수 협력업체로 선정됐다. 이 회사는 GM 외에도 일본의 스탠리, 독일의 헬라, 프랑스의 델파이와 기술 제휴를 맺으며 선진기술을 전수받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에스엘은 과거 현대차그룹 부품계열사인 현대모비스가 연구 인력을 빼내가 한동안 골치 아픈 일을 겪기도 했다. 그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얘기다.

17년 연속 GM 우수협력업체

▲ 에스엘 기술연구소는 자동차 부품 개발부터 생산, 검사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자동차 연구소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문제는 현대차에 의존하는 것이다. ‘완성차 - 부품업체’가 함께 성장하는 것은 옳은 방향이지만 현대차에만 의존하면 경쟁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현대차가 위기에 빠지면 리스크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지기 때문이다. 부품을 납품할 수 있는 새로운 해외업체를 스스로 뚫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런 맥락에서 에스엘은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가 나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부품공급처를 다변화함으로써 ‘탈脫 현대차’에 성공하고 있어서다. 에스엘의 매출 비중은 현대차 70%, 비比 현대차가 30%다. 에스엘은 비比 현대차 부분의 거래량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심에 GM이 있다. 최근 에스엘이 GM과 오토매틱 기어 시프터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은 공급처 다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에스엘 관계자는 “지금까지 우리(에스엘)의 기술력을 세계에 보여줬다”며 “이제는 세계시장에서 새롭게 점프할 시기”라고 말했다. 작지만 강한 기업 에스엘. GM을 홀릴 만한 기술력에 패기까지 지녔다.
박용선 기자 brave11@thescoop.co.kr|@brave11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12층 1202호
  • 대표전화 : 02-2285-6101
  • 팩스 : 02-2285-6102
  • 법인명 : 주식회사 더스쿠프
  • 제호 : 더스쿠프
  • 장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2110 / 서울 다 10587
  • 등록일 : 2012-05-09 / 2012-05-08
  • 발행일 : 2012-07-06
  • 발행인·대표이사 : 이남석
  • 편집인 : 양재찬
  • 편집장 : 이윤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중
  • Copyright © 2025 더스쿠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hescoop.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