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내수시장이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동남아 국가가 수출주도형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를테면 동남아의 ‘예쁜 백조’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의 광범위한 내수시장은 ‘양날의 검’과 같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내수시장의 성장세가 끝나면 침체가 시작될 공산이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5년까지 세계 10대 주요 경제국으로 성장한다”는 내용의 중장기 경제개발 기본계획을 2011년 발표했다. 2020~2030년 경제를 부양할 수 있는 청년층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근거에서다. 노동력을 바탕으로 노동 집약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인도네시아의 성장동력은 ‘내수’에서 나온다. 다른 동남아 국가 대부분이 ‘수출주도형’인 것과 대조적이다. 인도네시아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내수시장 위주로 경제구조가 재편됐다. 이에 따라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2010년에는 GDP의 65%에 달했다. 그 결과 많은 국가와 기업이 인도네시아 진출을 노리고 있다. 내수시장이 인도네시아의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의 올해 1분기 외국인 직접투자(FDI) 실현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산층이 늘면서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은 4월 2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에 대한 FDI 실현액이 지난해보다 27.2% 증가한 67억 달러(약 7조5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FDI 증가율 22.9% 보다 늘어난 규모다.

정부의 부정부패가 만연한 데다 지방분권화까지 시행하고 있어 외국기업이 현지사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도 단점이다. 2001년부터 시행된 지방분권화법에 의해 중앙정부 권한의 상당 부분이 지방정부로 넘어갔다. 이는 인도네시아에 만연한 정부의 부정부패를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현지에 진출한 해외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려면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까지 접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인도네시아가 신흥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런 단점들의 보완이 시급하다.
강대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dkang@kiep.go.kr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