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국 박사의 ‘한방경제’
추운 겨울이 지나 봄이 오면 매화향기를 필두로 산수유•개나리•진달래•목련•벚꽃의 향연이 펼쳐진다. 이때 반갑지 않게 찾아오는 질환이 있다. 콧병이다. 코의 구조는 크게 비중격•비갑개•비강•외비공으로 이뤄져 있다.
비중격은 양측 비강 사이의 벽을 말한다. 앞쪽은 연골, 뒤쪽은 뼈다. 비중격이 C자형이나 S자형으로 만곡돼 있는 비중격만곡증은 숨을 제대로 쉴 수 없게 만든다. 성인에게 많이 발생한다. 비갑개는 비강 안에 세개의 점막으로 돼 있다. 비강은 코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관의 구조를 하고 있다. 내부는 점막으로 이뤄져 있다. 점막에는 선모라 불리는 가느다란 털이 나 있는데 코털이 거르지 못한 공기 중 먼지나 분비물을 씻어내는 작용을 한다.

대표적인 코의 질환에 급•만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축농증이 있다. 운동부족, 대기오염, 인스턴트식품의 범람, 주거와 음식문화의 서구화, 경쟁이 치열한 사회구조 속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으로 체질이 허약해진 유아•소년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중 알레르기성 비염은 양방에서 약물치료•면역요법•회피요법•레이저소작법 등 다양한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는다.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코 자체가 체질적으로 민감해서다.
이런 이유로 체질을 바꾸지 않으면 완치되기 어렵다. 알러지를 일으키는 꽃가루 알레르기는 봄철 나무(오리나무•자작나무•참나무)보다 가을 잡초의 꽃가루(돼지풀•환삼덩굴•쑥)가 영향이 크다. 시골보다 도시의 꽃가루가 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최근 조사에서 나타났다.
한의학에서는 코는 폐의 호흡이 출입하는 문이다. 코의 기능은 주로 폐기의 작용에 의지하고 있다. 폐는 오행 중에 금金에 속한다.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한다. 콧병이 가을에 시작해 겨울•봄에 심해지는 이유다.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