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이 꼭대기층에 배치된 이유
한국관이 꼭대기층에 배치된 이유
  • 안현진 스노우풀 마케팅본부장
  • 호수 34
  • 승인 2013.03.13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獨 매세박람회장에서 실감한 한국의 위상

중소기업을 지원하겠다는 이야기가 끊이질 않는다. 대한민국 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을 살리겠다는 말이다. 뜻은 좋다. 문제는 진정성이다. 당장 해외 전시에 참가하는 중소기업의 표정만 봐도 알 수 있다.

▲ 독일 프랑크프루트 매세박람회장에 설치된 한국 전시관의 모습.
3월 14일 독일 프랑크푸르트 매세박람회장. 전시 준비를 위해 전시장에 들어섰다. 한걸음 떼는데 입에서 “아!” 감탄사가 흘러나왔다. 엄청난 전시장 규모 때문이었다. 전시관 12곳이 5층까지 늘어서 있는데, 국내 웬만한 전시장 50개 이상을 합쳐놓은 듯했다.

이곳에선 전 세계 4500여개의 소비재 기업의 전시가 이뤄졌다. 역사의 현장에 서 있으면서도 한편으론 부러웠다.

‘우리에게도 이런 전시관이 있다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전시도 하나의 산업이다. 전시만 잘해도 소비자는 멀리 나가지 않고 전 세계 기업과 상품을 만날 수 있다. 국내 기업들도 해외 유명 브랜드와 경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우리는 국내 업체 20개가 모인 ‘한국관’에서 전시했다.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서 각각 10개 업체를 선정해 참가한 것이다. 전시장을 한바퀴 둘러보니 주류•비주류전시관으로 나뉘는 듯했다. 대중에게 유명한 독일 압력밥솥 브랜드 ‘휘슬러’나 냄비•칼로 유명한 독일 주방 브랜드 WMF 등 유명 주방용품 브랜드는 3관 1~2층에서 전시를 했다. 거기에는 쌍둥이칼로 유명한 독일 브랜드 ‘행켈’도 있었다.

 
한국관은 중국업체와 함께 10관 꼭대기층에서 전시했다. 더 많은 업체가 참가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쉬웠다. 더 아쉬웠던 것은 한국관의 위치였다. 협상력을 키웠다면 한국관이 이처럼 입지가 좋지 못한 곳에서 전시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한국의 위상까지 낮았던 건 아니다. 꽤 유명한 독일식당에 갔는데 종업원이 한국어로 학센(독일식 족발 요리)을 서빙하면서 “족발 맛있다”고 말했다.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내렸을 때는 LG마크가 선명한 TV를 봤다. 호텔에는 삼성전자의 TV가 있었다.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바로 맞은편에는 기아자동차•금호타이어 광고판이 대문짝만하게 붙어 있었다. 외국인이 “어디서 왔냐?” 묻길래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 신나게 말춤을 추면서 웃어보였다. 몇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었다. 그때만 해도 외국인 대부분은 동양인에게 “일본인이냐? 중국인이냐?”고 물었다. 한국의 국격國格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중소기업이 유럽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참가하는 건 쉽지 않다. 경제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부담이 크다. 이런 맥락에서 지자체에서 예산을 배분해 참가업체의 비용을 분담해주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다.

다만 전시회 참가 전 현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무역협회를 통해 꼼꼼하게 바이어와 연결하고, 미팅을 주선해줬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렇다면 참가하는 업체들이 해외 전시회에서 더 알찬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중소기업 지원’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사실 새삼스러울 건 없다. 지금까지 중소기업 지원을 입에 담지 않은 정부와 정치권은 없었다. 문제는 현장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지 않는 태도다. 돈은 돈대로 쓰고 기대만큼 효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중소기업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손톱 밑의 가시를 빼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려면 책상이 아니라 중소기업 내부에 들어가 그들의 고민과 아픔을 보고 듣고 느껴야 한다. 프랑크푸르트 전시회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12층 1202호
  • 대표전화 : 02-2285-6101
  • 팩스 : 02-2285-6102
  • 법인명 : 주식회사 더스쿠프
  • 제호 : 더스쿠프
  • 장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2110 / 서울 다 10587
  • 등록일 : 2012-05-09 / 2012-05-08
  • 발행일 : 2012-07-06
  • 발행인·대표이사 : 이남석
  • 편집인 : 양재찬
  • 편집장 : 이윤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중
  • Copyright © 2025 더스쿠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hescoop.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