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사태’ 데자뷔 신용등급 흔들흔들
‘S&P 사태’ 데자뷔 신용등급 흔들흔들
  • 심하용 기자
  • 호수 28
  • 승인 2013.01.22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끝나지 않은 미 재정절벽

“늘리자(민주당), 정부지출부터 줄여라(공화당).”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증액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공화당을 향해 “국민을 향해 총을 겨누고 있다”며 비난했다. 공화당 역시 “절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러다간 미국 국가신용등급이 또다시 하락할 수도 있다.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의회가 부채한도 증액을 거부하면 경제혼란이 촉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재정절벽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지만 미국경제는 여전히 흔들리고 있다. 부채한도 증액이라는 문제가 또다시 뇌관으로 떠올라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채무한도를 상향조정하지 못하면 세계경제에 위기가 올 것이라며 경고하고 나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1월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기 임기를 마무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 정치권이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증액을 협상하지 못하면 미국은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에 빠지고 주식시장과 세계경제는 심각한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화당에 대해 “국민의 머리에 총을 들이대고 협박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 냈다.

 
올 초 미국 백악관과 공화당은 ‘재정절벽’에 관한 협상을 마무리 지었지만 예산 자동 감축을 뜻하는 ‘시퀘스터’와 부채 한도 재조정 협상은 뒤로 미뤄 놓은 상태다. 미국의 국가부채는 이미 법정 채무 상한선인 16조3940억 달러에 도달했다. 재무부는 지난달 2000억 달러를 긴급 투입해 두달 정도의 시간을 벌었지만 이마저도 2월 중순이면 소진될 전망이다.

문제는 공화당 역시 일보도 물러나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다는 점이다. 공화당은 채무한도를 증액하기 위해서는 똑같은 규모의 정부지출을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의 악화된 재정문제는 세수를 확보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정부지출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존 베이너 하원의장은 오바마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미국인은 예산 삭감 없이 부채한도를 늘리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연방 예상 삭감에 실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부채한도 증액 실패가 초래하는 재앙 못지않다”고 말했다.

부채한도 증액 협상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2011년 8월 부채한도 증액을 둘러싸고 치열한 협상을 벌인 바 있다. 당시 양당의 협상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미 국가신용등급을 사상 처음으로 최고 등급인 트리플A에서 한 단계 낮은 AA+로 강등했다. 충격은 전세계 금융시장으로 삽시간에 퍼졌다. 올해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1월 15일(현지시간) 미국 의회가 부채 상한을 제때 올리지 않으면 국가신용등급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 역시 미 국가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김두언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최악의 상황은 모면한다 하더라도 향후 10년간 이어질 재정건전화 작업을 감안하면 미국 경제상승 탄력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며 “미국경제가 저성장 기조에 들어서면 미 신용등급은 강등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하지만 “미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돼도 2011년과 같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P가 기습적으로 미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과 달리 지금은 예상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국가신용등급 강등이라는 ‘학습효과’ 역시 후유증을 완충해 줄 것으로 보인다.
심하용 기자 stone@thescoop.co.kr | @itvfm.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12층 1202호
  • 대표전화 : 02-2285-6101
  • 팩스 : 02-2285-6102
  • 법인명 : 주식회사 더스쿠프
  • 제호 : 더스쿠프
  • 장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2110 / 서울 다 10587
  • 등록일 : 2012-05-09 / 2012-05-08
  • 발행일 : 2012-07-06
  • 발행인·대표이사 : 이남석
  • 편집인 : 양재찬
  • 편집장 : 이윤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중
  • Copyright © 2025 더스쿠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hescoop.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