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성분 측정기술로 세계 제패 꿈꾸다
체성분 측정기술로 세계 제패 꿈꾸다
  • 전병진 한화투자증권 울산지점 과장
  • 호수 14
  • 승인 2012.10.17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료기기 전문기업 바이오스페이스

▲ 고령화 사회와 웰빙 열풍으로 체성분 분석기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체성분 분석기 제조업체 바이오스페이스는 커지는 시장에서 꾸준히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비만인구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의 비만률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런 상황은 체성분 분석 의료기기 시장을 넓히고 있다. 이 전문기기를 사려는 일반가정도 늘어나고 있다. 국내 최고 품질의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를 생산하고 있는 바이오스페이스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1996년 설립한 바이오스페이스는 체성분 분석기 전문업체다. 세계 최초로 8점 터치식 전극법을 개발한 업체이기도 하다. 이런 뛰어난 원천기술 덕분에 바이오스페이스는 체성분 분석기 시장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자체 브랜드인 ‘인바디(Inbody)’를 주력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인바디의 성능은 상당히 뛰어나다. 오차범위는 1.5% 이내, 신뢰도는 99%에 달한다.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전체성분 분석기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봤을 때 국내 1위다.

 
세계시장의 경우 전문가용 시장에서는 1위, 전체 시장에서는 일본업체에 이어 2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체성분 분석기 시장은 크게 전문가용(병원 ·비만클리닉)과 보급 ·가정용(스포츠센터 ·가정)으로 구분된다. 체성분 분석기는 인체에 무해한 미세 교류전류를 통과시켜 얻은 저항값을 통해 신체의 근육량 ·체지방량 등을 분석하는 전자의료기기다. 인간의 삶과 별 관계가 없는 의료기기 같지만 그렇지 않다. 현대인의 식습관과 생활패턴의 변화는 비만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비만은 성인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성인병은 주로 40대 이상의 성인과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주요 질환이다.

대개 만성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의료비 증가의 주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체성분 변화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은 장년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바이오스페이스의 수준 높은 체성분 분석기기가 인기를 끌 수밖에 없는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 회사의 체성분 분석기는 특히 다이어트에 필요한 진단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경쟁력이 남다르다.

최근 ‘1인 가구’가 급격히 늘어난 점도 바이오스페이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주로 편의주의 생활패턴을 띄는 1인 가구가 늘게 되면 원격의료장비의 수요가 늘기 때문이다

바이오스페이스가 첫째 타깃으로 삼은 해외국가는 일본이다. 일본은 가정용 체성분 분석기 시장이 발달했다. 일본업체가 9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용 체성분 분석기 시장은 약하다.

간편한 측정방법과 신뢰도 높은 측정값이라는 장점을 가진 바이오스페이스의 제품은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유럽, 중국의 시장도 아직은 초기단계지만 성장성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비만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유럽과 미국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증시 전문가들이 바이오스페이스의 꾸준한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실제로 바이오스페이스는 서구권 등 기회의 땅을 두드리기 위해 해외시장 진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은 매출에서 수출비중이 늘어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전병진 한화투자증권 울산지점 과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12층 1202호
  • 대표전화 : 02-2285-6101
  • 팩스 : 02-2285-6102
  • 법인명 : 주식회사 더스쿠프
  • 제호 : 더스쿠프
  • 장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2110 / 서울 다 10587
  • 등록일 : 2012-05-09 / 2012-05-08
  • 발행일 : 2012-07-06
  • 발행인·대표이사 : 이남석
  • 편집인 : 양재찬
  • 편집장 : 이윤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중
  • Copyright © 2025 더스쿠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hescoop.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