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하지만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 경기회복세를 제약하는 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총재는 “저성장‧저물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완화 정도가 덜 하다고 해서 통화정책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는 건 아니다”며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구조개혁과 경쟁력 향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새누리당의 총선 공약인 ‘한국형 양적완화’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 총재는 “한국의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은 선진국보다 높다”며 “기축통화국인 선진국과 달리 자본유출 위험도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이 특정 정당의 공약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한은도 경제 활력을 회복하고 구조조정을 뒷받침하는 데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