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높을수록 수익률 높은 마술 펀드
불확실성 높을수록 수익률 높은 마술 펀드
  • 유두진 기자
  • 호수 2
  • 승인 2012.07.17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동성 매매펀드의 美學

▲ 변동성 매매펀드에 투자하면 글로벌 경기가 불확실할 때 더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주가가 오르내림에 따라 투자자들의 심장은 두근거린다. 직접 투자하기를 어려워하는 고객들도 많다. 복잡한 주식시장에 대한 이해가 짧아서다. 직접 투자하지 않고도 주가 변동성에 따라 이익을 취할 수 있는 펀드상품이 있다. 주가가 내렸다고 해서 꼭 손해인 것만도 아닌 신개념 펀드다.

미국의 더딘 경제지표 회복과 스페인의 구제금융 소식 등으로 최근 국내 주가는 조정을 겪고 있다. 정기예금 금리도 1년 가입해야 3% 후반 수준이다. 그나마 세금 떼고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제 남는 것은 거의 없다.

주위에서 괜찮은 상품 없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주가나 금리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이고, 그런 면에서 어떤 상품에 관심을 갖는 게 좋겠다’고 시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금세 관심이 줄어든다. 반면 시장과 연관이 적으면서 일정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이라고 하면 큰 관심을 가진다.

시장상황과 무관하게 수익을 추구할 수 있고, 이전부터 거액자산가들 사이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었던 상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변동성매매 펀드다.

주가가 조정을 겪으면 변동성이 확대되기 마련이다. 이런 시기엔 주가의 방향성만으로 투자하는 상품보다는 변동성을 활용한 상품에 투자하는 게 좋다.

변동성 매매펀드의 운용전략은 다음과 같다. 이 펀드는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에 주가 등락에 따른 차익을 추구하는 혼합형 상품이다. 주가 하락 시 주식편입비율을 증가시키고, 주가 상승 시에는 주식편입비율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주식을 펀드 자산의 30% 수준에서 편입한다. 이후 주가가 5% 오르면 5% 정도는 팔아 수익을 확보한다. 반대로 5% 하락하면 5% 정도 추가 매입한다. 그러다 반등해 제자리로 오면 다시 5%를 매각해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일부 매도하고 하락하면 다시 매입하는 방법이다. 펀드 가입 시 주가와 환매 시 주가가 동일한 수준이라도, 중간에 변동성이 커져 몇 번의 매매를 하게 되면 수익이 생기는 구조다.

이 펀드가 투자자의 주목을 끄는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다. 첫째, 주가가 횡보하더라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운용전략을 펼친다. 둘째, 주식편입비가 높지 않아 손실 범위가 제한적이다. 셋째, 주가가 언제 오를 지, 언제 내릴 지에 대한 고민을 안 해도 된다. 추가로 설명한다면, 이 펀드의 유리한 가입 시기는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다. 최근처럼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고 주가가 부담스런 수준이라 판단되는 때 가입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넷째, 주식 또는 장내 선물매매를 통해 달성한 이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 발생한 이익보다 세금을 적게 내 세제혜택을 누릴 수 있다. 다섯째, 주가연계증권(ELS)에 비해 환금성이 좋다. 구조화된 수익을 주는 ELS는 만기 전에 환매하면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에 비해 이 펀드는 3개월만 지나면 별도로 부과하는 환매수수료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이 펀드는 만능인가? 그렇지는 않다. 변동성이 작으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또한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하면 변동성 매매를 통해 이익을 낸 부분보다 주식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커진다. 결국 펀드 전체적으로 손실이 난다. 어느 시장상황에서도 수익을 내는 만능은 아닌 것이다.

김용구 대신증권 상품전략부 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12층 1202호
  • 대표전화 : 02-2285-6101
  • 팩스 : 02-2285-6102
  • 법인명 : 주식회사 더스쿠프
  • 제호 : 더스쿠프
  • 장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2110 / 서울 다 10587
  • 등록일 : 2012-05-09 / 2012-05-08
  • 발행일 : 2012-07-06
  • 발행인·대표이사 : 이남석
  • 편집인 : 양재찬
  • 편집장 : 이윤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중
  • Copyright © 2025 더스쿠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thescoop.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