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인수전 앞둔 朴의 고민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회사격인 금호산업 매각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아울러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금호산업 되찾기의 성공 여부에도 재계 안팎의 관심이 뜨겁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워크아웃 과정에서 감자와 출자전환을 통해 확보한 지분 57.6%를 이번에 일괄매각하기 위해 지난 1월 30일 금호산업 매각 공고를 낸 뒤 본격적인 매각일정에 나섰다. 금호산업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30.1%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아시아나항공이 금호터미널, 금호사옥, 금호리조트 등을 지배하고 있다. 금호산업을 인수하면 금호아시아나그룹 전체에 대한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지배의 정점에 위치한 명실상부한 그룹 지주회사다.
일단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는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다. 박 회장은 채권단 보유 지분 중 ‘50%+1’주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을 갖고 있다. 박 회장은 아들인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과 금호산업 지분을 10.16%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40%만 추가 인수하면 경영권을 온전히 확보하게 된다. 문제는 박 회장 부자父子가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이 1500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인수대금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채권단이 보유한 금호산업 주식 57.6%는 시가로 4600억원(1월 27일 종가 기준)대다.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고려하면 최소 6000억원 이상을 동원해야 금호산업을 인수할 수 있다. 박 회장은 지난 2011년 금호석유화학 지분 5.3%을 매각해 3300억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 유상증자에 투입해 여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삼구 회장과 아들인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이 보유한 금호산업(10.4%)과 금호타이어(5.22%) 지분은 전량 담보로 설정돼 추가 대출이 어려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박 회장이 부족한 인수자금을 확충하기 위해 재무적 투자자를 인수전에 참여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사돈기업인 대상그룹이 꼽힌다. 임창욱 대상그룹 명예회장의 부인인 박현주 대상홀딩스 부회장은 박 회장의 여동생이다. 대상그룹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유동자산은 8835억원,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2548억원이다. 한편 지난해 11월 금호산업 지분 204만8000주(6.16%)를 매수, 박 회장보다 더 많은 지분을 보유해 잠재 후보군으로 주목받았던 호반건설은 1월 23일 금호산업 주식 34만8000주(지분 1.21%)를 처분, 공시 의무가 없는 5% 이하로 낮춘 후 시장의 눈 밖으로 벗어났다.
이호 더스쿠프 기자 rombo7@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