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유통공룡의 세일앤드리스백 손익계산서
점포를 매각한 후 다시 빌려 사용하는 ‘세일앤드리스백’. 요즘 이 방식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부채증가 없이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데다 부동산 매각 후에도 안정적 사업운용이 가능해서다. 백화점 2곳, 마트 5곳을 세일앤드리스백 방식으로 매각한 롯데쇼핑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게 마련이다. 신세계가 세일앤드리스백 방식을 굳이 사용하지 않는 이유다.

# 롯데쇼핑이 백화점 2곳, 마트 5곳 등 점포 7곳의 매각에 나섰다. 롯데쇼핑은 지난 8월 18일 KB자산운용과 경기도 일산ㆍ대구 상인백화점, 인천 부평, 충남 당진, 경기 평택ㆍ고양, 경북 구미점 마트를 총 6017억원 규모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롯데쇼핑은 점포를 매각한 후 다시 빌려 사용하는 ‘세일앤드리스백(sale and lease-back)’ 방식을 채용했다. 이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자산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롯데쇼핑의 이번 세일앤드리스백 계약은 매년 임대료가 상승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7년마다 임대료가 변동되는 구조다. 롯데쇼핑은 매각 후 1~7년간 매년 4.95%의 고정된 임차료를 지급하고 이후에는 시장금리의 변화를 감안해 임대료를 새롭게 결정할 전망이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이번 세일앤드리스백 방식의 자산유동화는 20년 장기 임대차계약으로 안정적인 영업이 가능하다”며 “금리와 연동된 임대료 구조를 통해 롯데쇼핑과 투자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롯데쇼핑의 세일앤드리스백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8년 롯데쇼핑의 제주ㆍ인천 항동ㆍ대전 대덕점 등 롯데마트 3개점을 부동산 투자회사인 ING KPI에 2200억원에 매각한 후 14년 동안 재임대를 했고, 2010년에는 롯데백화점 분당점과 롯데마트 5곳을 6100억원에 매각했다. 롯데쇼핑은 점포 매각을 통해 마련한 유동성을 인수ㆍ합병(M&A)에 필요한 자금으로 사용했다. 당시 바이더웨이, GS백화점, 마트, 두산주류BG, 중국 유통업체 타임스 등을 인수하며 M&A에 2조8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쏟아 부었다.

유동성 확보에는 적절
세일앤드리스백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설비 등의 자산을 매각하고 임대계약을 체결해 다시 사용하는 금융거래 방식이다. 기업은 대규모 자금을 확보해 부채상환이나 재무구조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장기 임대차 계약을 맺을 경우 안정적인 영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동산 경기변동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도 피할 수 있다. 부동산 매각으로 확보한 유동성을 부채상환에 사용해 재무건전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는 신용등급 향상으로 이어지고 신용등급 향상은 이자 등 자본조달 비용감소로 연결될 공산이 크다.
부동산을 매입한 업체도 장점이 많다. 무엇보다 매각업체 대부분이 매각 후 10〜20년 장기 임대차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아 안정적인 임대료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세일앤드리스백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긴급하게 부동산 매각을 해야 하는 기업이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라며 “은행대출과 달리 부채를 늘리지 않고도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매각업체와 매입업체 모두 이익을 올릴 수 있는 전략중 하나다”고 전했다.

황상운 동양인베스트먼트 본부장은 “세일앤드리스백의 경우 특정기간 임대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매각 이후 기업의 상황이 크게 나빠져 사용 공간이 줄어도 같은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위험이 있고 매입자는 매각기업이 디폴트에 빠질 경우 임대수익에 차질을 겪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대 변수는 부동산 시황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세일앤드리스백이 자산 유동화의 장점이 있지만 임대기간 중 임대료가 크게 오르거나 나중에 다시 매입할 경우 매입 금액이 큰 폭으로 상승할 수 있다”며 “이는 기업의 부담을 오히려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국내 경기회복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어 부동산 등의 유휴자산을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기업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세일앤드리스백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기업에 매력적인 건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제도에는 동전의 양면처럼 장단점이 존재한다. 황상운 본부장은 “건물 규모가 커 제 값을 못 받을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싸게 팔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전략적 선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세일앤드리스백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전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