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이순신공세가 25
이일이 상주에서 패했다는 보고가 서울에 들어왔다. 선조는 좌불안석이었다. 도승지 이항복이 좌의정 유성룡에게 손바닥에 쓴 글자를 내어 보였다. ‘입마영강문(말을 영강문에 세우자)’이라고 쓰여 있다. 선조를 모시고 달아나자는 뜻이었다. 몽진蒙塵 준비가 시작된 것이다.

크게 믿었던 대장군 이일과 조방장 변기는 다 도망쳤다. 판관 권길과 조방장의 종사관 이경류李慶流는 분개해 최후까지 싸우다 죽었다. 이경류는 죽은 뒤 그 영혼이 불멸해 수십년 동안 그 가족의 눈에 보였다는 말이 후세에까지 전해진다. 일본군은 조선군의 대장인 이일을 사로잡아 상을 받으려고 이일의 뒤를 급히 추격하였다. 이일은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해 갑주를 벗고 상투를 풀어 산발하고 말까지 버린 채 도보로 조령을 넘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도망쳤다. 그리고 그 이튿날 충주에 들어가 도순변사 신립의 진에 당도해 신립에게 고하되 군사가 적어 패하였다고 울면서 호소한다. 도순변사 신립은 각도의 병마를 불러 모아 합 8000기를 거느리고 의기당당하게 충주성 북쪽 단월역丹月驛에 진을 치고 있었다. 이일과 변기의 호소를 들은 신립은 다시 군사를 주어 선봉과 부선봉을 삼고 “패군한 죄는 공을 세워 갚으라”고 명한 후 종사관 김여물, 충주목사 이종장李宗張 등과 더불어 같이 군무를 보살폈다.
난폭한 이일, 군대 버리고 도망
신립의 진중에서 군사회의가 열렸다. 의제는 ‘일본군이 조령을 넘어오면 어떻게 막을까’라는 것인데, 의견이 두가지로 갈렸다. 하나는 김여물과 이종장의 주장이니, 관군은 적고 적군은 많은즉 마땅히 천험의 요새인 조령을 지켜 군사를 산곡에 숨기고 연기를 피워 적으로 하여금 의혹이 나서 감히 고개를 넘지 못하게 하자는 것이다. 또 하나는 신립의 주장인데, 일본군이 조령을 넘어 충주평야를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준비했다가 일거에 격파하자는 것이었다. 우리는 기병이라 산곡에서 싸우기는 불편하고 평야가 적당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래서 김여물 등이 제시하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여물은 다시 신립에게 이렇게 고했다. “적은 수의 군사로 수많은 적군을 대항하는 비결은 험고한 지리에 웅크리고 있는 게 득책입니다. 훈련이 부족할뿐더러 전쟁 경험까지 없는 8000병마로 평지에서 적군과 싸운다는 것은 이로울 리 없습니다. 만일에 조령의 험고함을 이용하지 아니할진대 차라리 한강을 의지해 한성이나 지키는 것이 옳을까 합니다.” 신립은 자부심이 강한 까닭에 고집이 많다. 그래서 “영감은 염려 마오. 적군은 내가 감당할 것이니”라며 김여물의 양책을 불청했다. 김여물은 신립의 무모한 고집 때문에 패할 줄을 짐작하매 죽을 바를 자각하고 자기의 아들 류에게 이런 서간을 써 보냈다.
“삼도에 징병했지만 한 사람도 오는 자가 없으니 우리들은 빈주먹만 늘어뜨리고 있을 뿐이다. 남아가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국치를 씻지 못하고 장부의 뜻이 꺾이고 마니 하늘을 우러러 탄식할 뿐이다.” 이때 이일이 상주에서 패했다는 보고가 서울에 들어왔다. 선조는 좌불안석이었다. 도승지 이항복이 좌의정 유성룡에게 손바닥에 쓴 글자를 내어 보였다. ‘입마영강문(말을 영강문에 세우자)’이라고 쓰여 있다. 선조를 모시고 달아나자는 뜻이었다. 유성룡도 할 수 없어 이항복의 뜻을 선조에게 비밀히 상주하였다. 선조도 할 수 없이 몽진蒙塵할 준비를 단속하라하였다.
선조는 우의정 이양원으로 수성대장을, 이전李戩으로 좌위장을, 변언수邊彦琇로 우위장을, 박충간朴忠侃으로 순검사를 삼아 한성을 지키게 하고, 경림군慶林君 김명원으로 도원수를, 신각申恪으로 부원수를 삼아 한강을 지키게 하였다. 한성을 지킬 군사는 모두가 7000명밖에 되지 않고, 그것도 오합지졸이라 틈만 나면 달아난다. 삼사육조의 관리들도 매한가지다. 대관들의 가족도 다 피난길로 달아나고 종친들까지라도 달아나는 이가 많았다. 한심한 일이었다. 영부사 김귀영이 선조를 향해 “대가大駕가 서울을 떠나시다니요! 종사가 있으니 죽기로써 지킴이 옳습니다”라며 분개하여 눈물을 흘렸다. 선조도 감동하여 “종묘사직이 이곳에 있거늘 내가 어디로 간단 말이냐”라며 떠나지 아니할 것을 단언하였다.
연일 패전보에 조정 ‘좌불안석’

정리 | 이남석 더 스쿠프 대표 cvo@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