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ㆍLG 추월한 中 디스플레이 패널
삼성ㆍLG보다 중국 BOEㆍCSOT 영업이익률 높아
중국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업체들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보다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의 효과로 해석된다.
5월 9일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는 올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중국 패널 업체들의 영업이익율이 한국과 대만 경쟁사보다 앞섰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1위 패널 업체인 BOE는 1분기 매출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400만 달러로 5%의 영업이익률을 냈다. 같은 기간 중국 패널 업체 CSOT는 매출 5억4200만 달러ㆍ영업이익 57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무려 14% 상승했다.
BOE와 CSOT의 영업이익율은 대만 AUO(0.2%)와 이노룩스(2~3% 추정)는 물론 한국의 LG디스플레이(2.2%)보다 높은 수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분기 11%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지만 70% 가량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에서 나왔다. 사실상 LCD 분야의 영업이익률은 중국 업체들이 가장 높다.
디스플레이서치는 중국 패널 업체들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우호적인 대내외 환경의 효과 덕분에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중국정부는 BOE와 CSOT에 기술개발비를 지원하고 세금 감면 혜택을 주고 있다. 이들 업체가 수혜를 입은 금액은 5000만~3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디스플레이서치는 추정했다. 관세 효과도 있었다. 중국정부는 지난해 대형 LCD 패널에 부과하는 관세를 3%에서 5%로 상향 조정했다. 자국 세트 기업들이 BOE나 CSOT의 저렴한 패널을 구입할 수 있었던 이유다.
우호적인 대내외 환경 요인도 컸다. 디스플레이서치는 중국 패널사의 8세대 장비 입고비용이 한국 업체보다 20% 가량 낮은 것으로 해석했다. 기술의 상향평준화로 장비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셰 디스플레이서치 부사장은 “중국 업체들의 8세대 공장 건설 시기가 한국과 대만보다 늦었지만 초기 투자금을 절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건희 기자 kkh4792@thescoop.co.kr│@kkh4792